본문 바로가기
Html & Css

Html (4) - 반응 선택자 / 폰트의 크기 단위 / 스타일 시트 명시도 계산 / 공간 분할 태그 / 가시 속성 (display) / CSS의 위치속성 (box model & box sizing) / 테두리 속성 (border)

by leehii 2022. 5. 31.

커서를 올려놨을때 변하는 색상

마우스를 클릭했을때 변하는 색상 

 

 

 

○ 크기단위

-- px : 고정값
em : 부모 요소 크기에 따른 배수 단위 (부모 px에 따라 곱하기)
rem : html태그 폰트 크기에 따라 결정 (웹페이지 기본 설정에 따라 곱하기)

 

 

 

값을 계산해서 더 큰 값을 기준으로 속성이 변함

 

 

 

 

○ 공간분할태그

-- 공간의 효과적 사용을 위해 분할해주는 태그

-- 종류
• <div>
• 문단 -->> <p>
• 문장 -->> <span> ○ 공간분할태그

-- 공간의 효과적 사용을 위해 분할해주는 태그

-- 종류
• <div>
• 문단 -->> <p>
• 문장 -->> <span>

 

 



○ 가시속성

 

-- display(요소가 화면에 보이는 방식)


block : 웹페이지 가로공간 한줄 전체를 차지하는 속성 -->> width, height 설정가능
inline : 컨텐츠(내용)이 끝나는 지점까지 너비를 가지는 속성 -->> 너비, 높이 설정 불가 (영역이 정해져있으므로)
none : 화면에 안보이게 지정

 

 

 

 

 

-->> 컨텐츠가 없어 보이지않는 <span>태그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-->> 컨텐츠에 내용을 주자 보이는 <span>태그

 

 

 

 

 

<p>태그와 <span>태그는 위처럼 바꿔줄 수 있음

 

 

 

display : none 속성으로 answer 클래스가 보이지않음

 

 

 

 

display : inline을 hover 반응선택자로 커서가 올라갔을때만 보이게 설정

 

 

 

 

○ CSS의 위치속성

-- 박스모델

content 내용

border 경계선

pading 내용과 경계선 사이 안쪽 여백
margin 경계선 바깥 여백

 

f12 개발자 모드를 통해 영역크기 확인이 가능함!

 

 

 

 

 

 

margin 속성으로 바깥 여백이 들어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

 

 

 

 

 

pading 속성으로 안쪽 여백이 설정된 모습

 

 

 

 

 

pading 값이 변해도 실제 content가 차지하는 크기는 변하지 않음을 볼 수 있음

다만 안쪽 여백의 크기가 변하므로 커진것처럼 보임

 

 

 

 box-sizing 요소의 크기를 표시하는 방식
        1)  content-box
            크기의 기준 = conntent
            전체 크기가 커지는 것 상관 x
            content 값만 유지
 
            따라서 컨텐츠 값 500 + padding 값 40x2 = 80으로 sum = 580
 

        2)  border-box
            크기의 기준 = border 안쪽
            (border + padding + content)
            content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
            전체크기를 맞추겠다!
 
             따라서 전체크기 500 - padding 값 80 = 남는 420의 값이 컨텐츠의 값
 
 
 

 

공통된 영역 div에서 border-radius 속성을 줬음